이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긍지를 갖게 하는 현명한 판단이다.
국민들의 자존심을 지켜내는 것은 지도자가 갖춰야 할 훌륭한 덕목이라 하겠다.
위기가 곧 기회다.
4대강, 자원외교 등 뻘짓 비용 없애고 차근차근 기술력을 확보하여 대일의존도에서 탈피하자.
기초소재산업, 기초과학산업을 육성•증진시켜 자생력을 키우고,
50여년 누적된 700조의 대일무역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하늘이 준 좋은 기회로 삼자.
언제까지나 일본의 기술력에 의존하며 살 것인가?
힘을 앞세운 아베의 황당한 정치공세에 맞서
허리띠 졸라매고 당당하게 우리 대한민국의 저력을 보여주자.
우리는 할 수 있다!
********************************************************************************************************************************************************
■츌처 : https://news.v.daum.net/v/20190708164803288?f=m
머니투데이
아베 '정치공세' 무시한 文.. '맞대응' 경고로 정면승부
최경민 기자 입력 2019.07.08. 16:48 수정 2019.07.08. 16:58
[the300]아베 공세 언급안하며 '맞대응' 경고.."위기는 기회" 인식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 여민
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왼쪽은 김상조 정책
실장. 2019.07.08. photo1006@newsis.com
문재인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정치적 발언은 무시하면서 '맞대응'을 언급하며 냉정하게 경고를 보냈다. 일본과 중장기 무역분쟁도 충분히 감내하겠다는 정면돌파의 의지다. 위기를 기회삼아 산업구조의 고도화까지 달성하겠다는 각오도 피력했다.
문 대통령은 8일 수석보좌관회의를 통해 일본의 반도체 수출 규제와 관련 처음으로 입을 열었다. 일본측의 조치 철회를 촉구하면서 동시에 한국 기업의 실질적 피해가 발생할 경우 맞대응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사실상 경고를 보낸 것이다.
"일본이 늘 주창해온 자유무역의 원칙", "상호 호혜적인 민간기업 간 거래를 정치적 목적으로 제한" 등을 직접 언급하며 일본의 행동에 명분이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오는 21일로 예정된 일본의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목적의 보복을 한 게 아니냐고 지적한 것이다.
일본의 정치적 공세에 대한 반응은 전혀 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한국이 대북제재를 지키지 않는다는 취지의 언급을 하면서까지 공세를 펴왔다.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국제적인 약속을 지키지 않는 한국이 대북제재도 지키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성 발언까지 했던 것이다.
문 대통령은 아베 총리의 발언을 언급하지도, 반박하지도 않았다. 대신 일본 수출 규제 조치의 부당함, 향후 우리의 대응방향을 설명하는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문 대통령까지 나서서 한일 양국 간 진흙탕 싸움이 벌어지는 게 선거를 앞둔 아베 총리가 원하는 구도라는 분석이 깔려있다. 청와대는 "일본이 의혹을 스스로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대북제재 결의와 관련해서는 국제사회의 협조 하에 충실하게 이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발언으로 문 대통령은 '로우키(low key)' 모드를 풀었다. 일본의 2~3차 제재가 점쳐지고 있고 우리 기업들에 실질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데 따른 행보다. 그러면서도 정치적 의도가 포함된 공격은 철저히 무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본에 감정적 대응은 자제하면서 동시에 실질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해석된다.
기조는 정면대응이다. '맞대응'을 시사한 것에서 장기전도 불사하겠다는 각오가 읽힌다. 실제 문 대통령은 이날 '민관이 함께하는 비상 대응체제 구축'을 거론하며 "기업과 함께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단기적인 대응과 처방을 마련면서 중장기적 안목으로 수십년 간 누적돼온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힘을 줬다.
위기는 기회라는 인식이다. 특히 "한일 양국 간 무역 관계도 더욱 호혜적이고 균형있게 발전시켜 심각한 무역수지 적자를 개선해 나가겠다"고 한 대목에서 이같은 구상이 두드러졌다.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을 강화하면서 오히려 한 단계 '레벨업'을 하겠다는 의지다.
제조업 르네상스 전략을 흔들림없이 추진하며 부품, 소재, 장비의 국산화 등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예산, 세제 등 가용 자원을 총 동원하여 기업을 지원하겠다는 뜻을 숨기지 않았다. 일본 등이 한국의 약점으로 취급하고 있는 부품 소재 산업을 업그레이드하고, 대외의존형 산업구조를 탈피하겠다는 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 "강대강 대응이라기 보다는 양국 우호관계가 더이상 훼손되지 않기를 바라는 강력한 촉구의 의미"라며 "외교적 문제로 인해 돌이킬 수 없는 관계로 가는 것을 막기 위한 당부"라고 설명했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프리즘을 통해 본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베의 노림수, 한국 경제 망가트려 문정권 교체... (0) | 2019.07.19 |
---|---|
천인공노할 일제의 만행 (0) | 2019.07.09 |
마지막 조선 총독, 아베 노부유키의 소름끼쳤던 예언... (0) | 2019.07.08 |
남북미정상이 한자리에 역사적인 장면연출과 자충수의 명수 자한당... (0) | 2019.07.03 |
드라마 조장풍 패러디... (0) | 2019.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