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래하는 곳에...

Dear 필립, 진정한 광대 이정열...

지요안 2008. 9. 17. 21:02

 

 

영어이름이 필립제이슨(Philip Jaisohn)이라는 서재필.

 

갑신정변의 주역이자 한말의 독립운동가이며, 독립신문을 발간하고 독립협회를 결성하였던

위대한 지식인으로 추앙받는 서재필을 모르는 이는 많지 않으리라.

 

내가 좋아하는 가수 이정열이 그 서재필을 노래했다.

서재필에 대한 공과는 다양할 테고 그에 대한 평가도 분분하겠지만

이 노래는 아마도 서재필을 조롱하는 노래인 듯하다.

 

역시 이정열답다.

요즘은 뮤지컬배우로 한층 줏가를 높이고 있다는 이정열,

그야말로 이시대가 필요로 하는 진정한 광대가 아닐까?

------------------------------------------------------------

 

Dear 필립

-이름모를 수 많은 독립투사들의 영령앞에서-

 

Hey~ 필립. 민족의 선각자라 추앙받는 그대

우리가 기억하는 그 이름 필~립

Hey~필립, 그토록 고결한 그대의 발자취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선

내 할아버지 같은 동상'

 

얼마나 우스운 노릇인가

그대의 독립문에 올라서서

태극기를 몸에 두른 젊은 친구들의 모습

해마다 치뤄지는 그 잔치에

코웃음치는 그대의 음성

나는 들을 수 있다네 필립제이슨

나는 들을 수 있다네 필립제이슨

 

일본을 건너 아메리카로

그대의 놀라운 예지력

대한의 무지를 통렬히 성토하던

그대의 날카로운 체제비판

살아서는 치외법권에 부귀영화

죽어서는 애국지사에 광명이라

 

나 또한 이렇게 그대를 노래하니

이제 얼마나 행복하신가 필립제이슨

그래 이제 얼마나 행복하신가 필립제이슨

 

 

서재필(徐載弼, 1864.11.20~1951.1.5)

 

본관은 대구(大邱)이며, 호는 송재(松齋)이다. 영어명은 제이슨(Philip.Jaisohn)이다. 전라남도 보성(寶城)에서 출생했다. 7세 때 서울에 올라와 외숙인 판서(判書) 김성근(金聲根) 밑에서 한학을 배웠고, 1879년(고종 16) 전강(殿講)에 장원하였다. 이 무렵부터 김옥균(金玉均)·서광범(徐光範) 등 개화인사들과 교유, 1883년 일본의 도쿄 육군유년학교(陸軍幼年學校)에 입학하여 이듬해 졸업, 귀국 뒤 국왕에게 사관학교의 설립을 진언, 조련국(操鍊局) 사관장이 되었다.

 

1884년 12월 김옥균·홍영식(洪英植) 등과 갑신정변을 일으켜 18세의 젊은 나이로 병조참판 겸 정령관(正領官)이 되었으나 정변의 실패로 일본을 거쳐 1885년 미국으로 망명, 1889년 조지워싱턴대학에 입학하였다. 졸업 후 세균학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고, 본국의 명성왕후 일파가 몰락하자 1896년 귀국 후 중추원(中樞院) 고문에 임명되었다.

 

정부예산을 얻어 《독립신문》을 발간하는 한편, 이상재(李商在)·이승만(李承晩) 등과 독립협회(獨立協會)를 결성하고 모화관(慕華館)을 인수·개축하여 독립회관으로 하였다. 1897년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웠으나 수구파(守舊派) 정부와 일부 외국인의 책동으로 다시 미국으로 추방되었다.

 

펜실베이니아에서 병원을 개업하고 있다가 3·1운동 소식을 전해 듣고 잡지 《The Evening Ledger》와 제휴, 한국문제를 세계 여론에 호소하는 한편 한국에 친화적인 성향의 미국인을 규합하는 한국친우회(The League of Friends of Korea)를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후원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후 상해임시정부와 긴밀한 연락을 취하며 외교위원장 자격으로 활약, 1922년 워싱턴군축회의에 독립을 청원하는 연판장을 제출하고, 1925년 호놀룰루의 범태평양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일본의 침략을 폭로·규탄하였다. 1947년 미군정 장관 J.R.하지의 초청으로 귀국, 미군정청고문(美軍政廳顧問)으로 있는 동안 국민의 추앙을 받았으나 이승만과의 불화 및 시국의 혼란함을 개탄하고 미국으로 돌아가 여생을 마쳤다. 미국에 있던 그의 유해는 전명운(田明雲)의사의 유해와 함께 1994년 4월 8일 서울 동작동 국립묘지에 안장되었다. 1977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