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사건 핵심 정리, 도둑놈들의 뒤집어 씌우기
대장동 사건은 부패한 검찰과 그에 영합한 언론이 저지른 최악의 부패사건이다. 부패의 본진이 된 검사와 기자가 직접 '4천억짜리 도둑질'을 한 전대미문의 사건이다. 기껏해야 부패세력에 빌붙어 푼돈이나 챙기던 과거와는 차원이 달랐다
'박영수가 불러서' 들어온 '대장동 로비스트' 김만배는 나중에는 대장동 사업의 실질적 리더가 됐다. 법조기자단에 뻗고 있는 영향력과 판검사 사회에 고루 퍼져있는 인맥이 바탕이 됐다.
김만배가 아니었다면 남욱은 대장동 사업에서 큰 손해를 봤을 것이다. 부산저축은행에서 빼내온 종잣돈도 모두 환수됐을 것이다. 두 차례에 걸친 부산저축은행 관련 수사에서 빠져 나오긴 힘들었을 걸로 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만배는 자신의 법조계 인맥과 언론인맥을 적절히 활용해, 검찰수사를 무마시키고 언론보도를 막아냈다. 심지어 하급심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수감된 남욱을 빼내주기도 했다.
정영학 녹취록에서 박영수, 윤석열, 최재경, 김수남, 윤갑근이 등장하는 건 이런 대목들에서다. 50억 클럽들도 살펴보면 등장 배경들이 대체로 비스므리하다.
이런 일들이 몇번 이어지면서 남욱은 사업 주도권을 자연스럽게 김만배에게 빼앗기는 상황이 됐는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유동규를 활용하려 든 것으로 보인다. 정산할 때 큰 돈을 받을 수 있는데도 계속 돈을 더 내놓으라고 떼쓰는 유동규를 김만배도 버거워 했는데 이를 적절히 활용하려 했던 게 아닌가 싶다.
어찌됐든 성남시의 의사결정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은 유동규였을 테니 말이다. 김만배도 어쩔 수 없는 점이 있었을거다.
처음엔 '총알'(로비자금)을 달라고 떼나 쓰던 유동규는 이 과정을 거치며 어느 틈엔가 '대장동은 자기 사업'이라 공언하는 수준에 이르렀고, 적극적으로 '이재명을 속였다'고 자부하기도 했다.
이에 맞서, 김만배는 천화동인 1호의 이익배분을 이용, 두 사람 사이를 적절히 갈라놓으려 시도하기도 하고, 어떤 방식으로 이익을 분배할 것인가로 유동규를 회유하려 든다.
남욱은 김만배를 이기기 어려웠을 거다. 박영수, 김수남, 최재경, 권순일, 곽상도, 윤갑근... 특수부의 전설이라 불리는 기라성 같은 전현직 검사들과 '형,동생'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다. 그냥 안면이 있다 정도가 아니라, 그들과 '깐뿌' 먹을 정도의 인물은 솔직히 말해 기자 중에는 김만배 밖에 없었고 앞으로도 나오기 어려울 것이다.
어디 그 뿐인가? 감히 한겨레 기자에게 돈을 먹일 생각까지 하는 자가 어디에 있으며, 심지어 돈을 먹이는데 성공한 자는 또 어디에 있겠는가?
이처럼 김만배는 화려한 법조-언론계 인맥으로 대장동 일당들의 엇갈리는 이해관계를 적절히 조율하는데, 그 바탕은 결국 전현직 법조계 인사와 언론을 좌우하는 믿기 어려운 수완을 보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내가 아니면 니들을 벌써 쇠고랑 찼어"라는 식의 태도는 정영학 녹취록 곳곳에 드러난다.
"동규 저거는 저러다 죽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같은 맥락이라 봐야 한다. '나니까 돈을 뿌려서 일을 해결하지, 니들이 돈을 아무리 뿌린다 한 들 될 것 같냐? 그걸 모르고 까불면 안 도와줘'라는 속마음도 느껴진다.
김용, 정진상, 이재명은 대장동 일당들에게는 '설득해야 할 대상'이거나 '극복해야 할 장애물' 뿐이다. 유동규는 '설득할 수 있다'라고 허세를 부리기도 하지만, 대장동 일당의 논의 구조에 포함시키지는 않는다. 심지어 김만배가 정진상에게 대장동 사업에 대해 입을 뗀 것도 2014년 무렵이다.
정영학 녹취록을 보면 알겠지만 김만배는 이들을 철저히 '설득과 속임수의 대상'으로 봤지 협업의 대상으로 보거나, 이익을 분배해줄 대상으로 보지는 않고 있다. 오죽 했으면 '이재명을 속였다'라는 표현이 등장하겠나?
실상이 이러한데도 언론과 검찰은 계속 이재명 죽이기에만 골몰하고 있다. 부패를 도와준 것도, 돈은 챙긴 것도 지들이면서 엉뚱한 사람들을 죽이겠다고 설치는 꼴이다.
더 적나라하게 말한다면, 자신들의 범죄를 다른 사람에게 뒤집어 씌우고 있는 거다.
(장용진 기자 페북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