봇물처럼 터진 50만명 시민 포효
50만명 결집...'윤 대통령 퇴진 촛불집회' 참석 야당 겨냥, 대통령실 -여·야 대립격화
K trendy NEWS 2022-11-20 21:29:18

[ K trendy NEWS 박준식 기자 ]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권 국회의원 7명이 20일 오후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지난 19일 50만명이 결집한 촛불집회에 참석한 것을 두고, 국민의힘 지도부와 당권주자들이 야당 의원을 향해 비판을 쏟아냈다. 대통령실이 "헌정 질서 흔들기"라고 규정하고 비난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국민의 비판이 불편하냐면서" 반박했고,.여당은 야당에 대한 검찰 수사와 10.29 참사 국정 조사까지, 여·야의 대립이 점점 더 급랭을 이어가고 있다.

민주당 6명 등 야권 국회의원 7명이 참석했다. 15일째 열린 집회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대거 단상에 오른 건 처음이다.
지난 19일 토요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김건희 특검·윤석열 퇴진' 촛불행동 주최로 ‘김건희 특검·윤석열 퇴진 전국집중 촛불대행진’이 열렸다.
'촛불대행진' 주최 측인 촛불행동은 6시 50분 기준 현장에 40만 명이 모였다고 밝혔지만 네티즌들과 참여한 시민들의 반응은 50만명이상은 될것이라고 전해졌다.
이날 5시 40분에는 20만 명이었지만, 주최 측 추산에 따르면 집회가 절정으로 가며 인원수가 배로 늘어난 것이다.
특히 주최 측과 네티즌에 추산 50만명 이상에 달하는 촛불 집회 참석자들이 '대통령실 에워싸기'를 했다.
보수 집회를 주최한 측이 반발하며 일촉즉발의 상황이 펼쳐질 수도 있었지만, 다행히 물리적 충돌 관련 소식은 없었다.
트위터에는 일요일인 오늘 까지도 '촛불집회'가 실시간 트렌드 검색어에 오르면서 트윗되고 있다. 원칙은 '전국집중 촛불대행진'이라고 표기 하지만 '촛불집회'로 혼돈해서 불리는 경우가 있기도 하다.

트윗의 내용에 보면 뉴욕타임즈에 실린 촛불대행진의 내용이라며 사진을 올리는가 하면, 시간별로 현장에 모인 촛불대행진의 시민들의 사진과 많은 시민들의 외치는 영상을 공유하고 있다.
또한 "15차 촛불대행진 50만 명 모였다' 서울 도심 대규모 촛불집회후 참석자들은 삼각지역에 도착한 뒤에는 윤통령실을 에워싸고 윤설열 퇴진 김건희,구속을 외쳤다."다고 현장 상황 영상이 올라오기도 했다. 심지어 '용산 집무실 포위행진'이라며 영상을 올리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20일 윤석열 대통령의 정권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한 야당 의원을 향해 비판을 쏟아냈다. 대통령실도 ‘헌정질서 흔들기’라며 비판에 가세했다.
정진석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취임 6개월 된 대통령을 상대로 탄핵과 퇴진을 외치며 결의를 다지는 행동은 대선 불복"이라고 전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문재인 정권이 지난 5년 동안 망친 외교와 안보, 경제를 정상화하려 동분서주할 뿐"이라고 밝혔다.
권성동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죽음마저 정파적 이익으로 계산하는 죽음의 환전상, 유가족의 슬픔을 당파투쟁의 분노로 바꿔보려는 감정사기꾼, 거짓 애도를 하며 죽음까지 독점하려는 정치무당이 바로 이들의 민낯이다”고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이어 “이들은 당파적 번제를 위해 불을 들었다. 그 번제가 바로 촛불집회”라고 직격했다.

민주당 강민정·김용민·안민석·양이원영·유정주·황운하 의원과, 민주당을 탈당한 무소속 민형배 의원 등 야권 의원 7명은 어제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촛불집회에 참석해 연단에 올라 윤 대통령이 민심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국민에 의해 선출된 헌법기관이자 입법기구인 의원들이 자의로 하는 정치 행동에 대해 당에서 가타부타 사전에 통제할 수 없다”며 “당원 중 촛불집회에 뜻을 같이하는 이는 누구나 시민 자격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밥을 먹다가 돌을 씹어도 이재명 대표 탓이고, 돌부리에 걸려 넘어져도 민주당 탓을 하는 등 모든 사안을 음모론으로 왜곡하고 확대하려는 것이 국민의힘의 무책임한 태도”라며 여당의 비판을 반박했다.

한편 대통령실은 이날 일부 야당 의원들이 도심 촛불집회에 참석한 것과 관련,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이 헌정 질서를 흔드는 주장에 동조하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Copyright ⓒ K trendy NEWS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s://m.newspic.kr/view.html?nid=2022112021291875091